[소방기술사] 공기 흡입형 감지기(ASD) - Air Sampling Detector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연기감지기의 일종으로, 연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연기의 초미립자 성분을 검출해 화재신호를 발하는 감지기이다. 여타 연기 감지기들과 다르게 능동적으로 항상 공기를 흡입하며 연기 미립자를 검출한다. 초미립자 성분을 검출하는데 특화되어 있어 매우 감도가 높은 감지기이다. 감도도 높지만 감도 신뢰성도 높은 감지기라 높은 감도 신뢰성이 필요한 대상물 및 건축물에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VESDA라는 업체가 거의 독점하다시피 공기 흡입형 감지기를 생산한다.
공기 흡입형 감지기의 구조
1. Air Sampling Pipe
2mm 내외의 구멍이 설치된 Pipe로 Pipe의 총길이는 50 ~200m 정도이다. 각 50m 내외의 길이를 가진 2~4개의 Pipe로 구성된다.
2. 필터(Filter)
흡입된 공기 중에서 불순물 및 먼지 등을 제거하여 최적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 1차 필터와 2차 필터로 구분되며 2차 필터는 3까지 여과가 가능함.
3. Detector (감지부)
연기입자를 검출하여 화재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 연기미립자 검출시 제어반으로 화재신호를 보냄.
4. Aspirator
흡입장치로, fan이라 생각하면 된다. 공기흡입배관 200m이내 부분으로부터 120초 이내에 감지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공기 흡입형 감지기 검출방식
1. Cloud Chamber Type: 가습장치로 연기미립자를 흡착시키고 진공펌프를 통해 감압시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응축된 수분을 팽창실을 거쳐 팽창시키면 물방울구름이 생기는데, 초미립자의 여부에 따라 물방울구름을 통과하는 광량변화가 달라진다. 초미립자가 많으면 광량변화가 커진다. 최근에는 유지관리의 어려움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 Xenon Lamp Type: Xenon(크세논) 광원을 이용해 연기의 초미립자를 검출한다. 고감도의 광원과 민감한 수신장치를 이용하는 산란광 방식이다.
3. Laser Beam Type: Laser Beam이 연기입자를 만나면 산란되는 원리를 이용. 연기미립자가 많을 수록 산란이 많이 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오동작이 적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기 흡입형 감지기 특징, 적용장소
특징
1. 일반 연기감지기로는 감지가 불가한 초미립자(0.02㎛이하)인 열분해 생성물을 감지한다.
2. 화재초기단계 감지가 가능하므로 화재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기류나 습도의 영향이 적다.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이므로)
4. 설비가 복합하고 고가이다. (비싼만큼 좋다)
5. 감지범위: 0.025 ~ 20%obs/m
6. 배관길이 25 ~ 200m, 감지면적: 250 ~ 2000㎡
적용장소
1. 공동주택, 대규모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2. 층고가 높은 장소
3. 환기가 빠른 크린룸, 의약품 제조소
4. 통신시설, 중앙통제실, 전산실 등 장애 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는 장소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시 온 국민이 불편함을 겪음)
5. 박물관, 미술관 등 고가의 물품이 있는 장소 (화재시 재산피해 뿐만 아닌 인류유산이 소실되는 위험성)
이상으로 공기 흡입형 감지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공기 흡입형 감지기(ASD)는 불꽃 감지기, 광섬유 케이블 감지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만큼 감도 신뢰성이 높고 감도 자체도 높은 감지기이다. 즉 성능이 좋다. 그만큼 값도 비싸며 설비가 복잡하고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주기적인 필터 교체로 높은 화재 감지 성능(감도)을 발휘할 수 있다면 오히려 장점이 아닐까 싶다.
'자격증 >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기술사] 축적형 감지기 원리, 설치장소, 사용불가 상황 (0) | 2023.03.16 |
---|---|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41.5점 맞은 후기 (0) | 2023.03.15 |
[소방기술사] 인화, 발화 차이 - 점화원이 있냐 없냐 (0) | 2023.02.27 |
[소방기술사]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장소 5곳 (소방기술사 129회 1교시 8번) - 개정안 반영 (0) | 2023.02.26 |
소방기술사 3개월차 공부법, 책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