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중성대 높이 유도
문제: 굴뚝효과(Stack Effect)에서 외부와 압력이 동일한 위치인 중성대를 유도하시오.
1. 중성대 높이 개념 및 조건

1) 중성대를 기준
- 중성대부터 지면까지 높이: h1
- 중성대부터 최고층까지 높이: h2
2) 온도
- 외부온도: To
- 내부온도: Ti
3) 개구부 단
2. 중성대 높이 유도
1) 내부에서 외부로 연기 유출속도: u2
u2=√2gh2=√ΔP2ρi=√2(ρo−ρi)gh2ρi
2)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 유입속도: u1
u1=√2gh1=√ΔP21ρo=√2(ρo−ρi)gh1ρo
3) 내부에서 외부로 연기 유출량: Q2
Q2=u2⋅A2=√2(ρo−ρi)gh1ρo\cdotA2
4)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 유입량: Q1
Q1=u1⋅A1=√2(ρo−ρi)gh1ρo\cdotA1
5) 정상상태(steady state)이므로 Q1=Q2로 놓고 식을 정리하면
h2h1=(A1A2)2⋅TiTo
3. 결론
h2h1=(A1A2)2⋅TiTo
1) 상층부 개구부가 작을수록 중성대의 높이가 높아진다. > 연기의 유출속도가 빠르다 > 공기가 빠르게 유입된다 > 화재가 빠르게 성장한다
2) 건축물 내부 온도가 높을수록 중성대의 높이가 높아진다. > 연기의 유출속도가 빠르다 > 공기가 빠르게 유입된다 > 화재가 빠르게 성장한다
3) 단, 중성대가 너무 낮으면 연기가 내부에 축적되기 때문에 피난이 어려워질 수 있다.
4) 부속실 급기 가압 및 거실 급기, 배기를 통해 청결층 유지 및 수직관통부의 연기 유입을 막아야 한다.
문제후기
중성대의 개념을 이해하고, ΔP=(ρo−ρi)gh를 알고 있으면 쉽게 유도할 수 있다. 화재시 건축물 내부는 화재로 인해 가열되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고 뜨거워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된 만큼 저층부로 신선 공기가 유입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굴뚝효과이다.
√ΔP21ρo=√2(ρo−ρi)gh1ρo
이게 왜 이런 식이 성립하는지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보면 된다. 높이차이 Z는 없고 압력수두와 운동수두가 같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실제로 굴뚝효과는 내외부 압력차에 의해 유체가 흐르는 것이고 압력차는 온도차에 의한 밀도차에서 기원한다.(온도차이 > 밀도차이 > 압력차이 > 유속차이)
베르누이 방정식 - 유체의 에너지 보존법칙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방유체역학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베르누이 방정식에 대해 알아보자. 1. 베르누이 방정식 Bernoulli's equation 이상유체에 대하여 유체의 속도, 압력, 위치 에너지에 대한 관
ikkujun.com
'자격증 >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사 공부 한 달에 200시간 넘게 하는 법 (1) | 2024.01.02 |
---|---|
[소방] ESFR 스프링클러 수원 계산문제 풀이 (0) | 2023.12.28 |
[소방기술사] 형태계수와 방사율 (0) | 2023.12.25 |
[소방기술사] 제2류 위험물 - 품명, 지정수량, 범위 및 한계, 일반적 소화 (0) | 2023.12.21 |
[소방기술사] MCCB, ELB 차이 (0) | 2023.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