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우선 가격이 비싸다. 그리고 한번에 약제 방사가 되지 않으면 화재 진압이 거의 불가해진다. 스프링클러를 작동해야 한다. 그럼에도 동파 및 수손피해가 없고, 전기화재에 대한 적응성과 전기기기에 사용해도 전기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정소화약제 조건
청정소화약제는 단어 그대로 인간과 환경에 무해한 소화약제를 뜻한다. 청정소화약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1) 환경영향성
오존층파괴지수 ODP가 낮을 것 |
지구온난화지수 GWP가 낮을 것 |
대기권잔존지수 ALT가 낮을 것 |
2) 독성
NOAEL | LOAEL |
설계농도가 소화약제의 NOAEL보다 낮아야 한다. 그래야 사람이 있는 곳에 약제가 방사되어도 인체에 피해가 없다. |
3) 청정성
화재 진압후, 잔류물이 남지 않아야 한다.
4) 물성
1. 낮은 전기전도도 | 2. 높은 비열 | 3. 적절한 증기압 |
청정소화약제 종류
청정소화약제는 크게 2종류로 나뉜다.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이하 할로겐화합물)와 불활성기체 청정소화약제이다. 할로겐화합물과 할론소화약제는 다르다. 2023년 2월 현재 할론소화약제는 공식적으로 생산되지 않고 있다. 할론소화약제의 오존층 파괴 효과 때문에 국제적으로 사용을 금지했다. 다만, 할론소화약제 사용이 금지 되기 이전에 할론소화약제를 설치했던 장소가 많았다. 그래서 할론 소화약제가 생산은 금지되었지만, 소화설비로 설치된 장소가 많다. 환경 유해성을 고려해 교체하고 있지만, 아직도 할론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곳은 많은 실정이다.
그럼 할론소화약제와 할로겐화합물은 무슨 차이인가?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써두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핵심을 짧게 언급하면 할론소화약제와 할로겐화합물 약제에 들어가는 할로겐족 원소가 다르다.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 할론소화약제 |
주로 사용되는 할로겐족 | 주로 사용되는 할로겐족 |
F(플루오린), Cl(염소, F에 비해 적음) | Br(브로민), I(아이오딘) |
할론소화약제는 주로 브로민, 아이오딘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로민과 아이오딘의 가장 큰 특징이 부촉매효과가 강하다. 그래서 약제가 조금만 방사되어도 화재가 쉽게 진압된다. 하지만 오존층 파괴 효과 때문에 현재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F 플루오린 | Cl 염소 | Br 브로민 | I 아이오딘 | |
오존층 파괴(순위) | 4 | 3 | 2 | 1 |
부촉매 소화능력 | 4 | 3 | 2 | 1 |
청정소화약제(Clean Agent) | |
할로겐화합물 | 불활성기체 |
FK 5 - 1 - 12 FC 3 - 1 - 10 HCFC - 124 HCFC Blend A HFC - 23 HFC - 125 HFC - 227ea HFC - 236fa |
IG - 01 IG - 55 IG - 541 IG - 100 |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 각각의 소화약제는 따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참고로 불활성기체는 질소($N_2$), 아르곤(Ar), 이산화탄소($CO_2$)로 구성된다. IG 뒤에 붙은 숫자는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나타낸다.
결론
이상으로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를 간단히 알아보았다. IT 센터 및 전산센터가 점점 늘어가면서 가스계 소화설비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가스계소화설비만큼 전기화재에 적응성과 후처리가 깔끔하고 기기 재사용이 가능한 약제가 없기 때문이다.
'자격증 >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소화설비 차이 (0) | 2023.02.13 |
---|---|
부촉매소화 정의, 원리, 메커니즘 (연쇄반응 반응식) (0) | 2023.02.12 |
기술사 경력 인증받기 - 응시자격서류 온라인 제출 (0) | 2023.02.10 |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후기, 공부 방향 재설정 (0) | 2023.02.08 |
[소방기술사]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102) 변경 (옥내소화전 수원, 유량 계산시 최대 2개)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