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오는 자동차에는 대부분 패들 시프트가 장착됩니다. 그럼 패들 시프트가 무엇일까요?
패들 시프트
주로 스포츠 주행시 변속의 편의를 위해 장착되는 자동변속기 또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 레버의 일종
바로 위 사진에 보이는 + 표시의 레버가 패들 시프트입니다. 보통 우측에 +, 좌측에 - 가 표시된 레버가 하나씩 장착되어 있습니다. +레버를 핸들쪽으로 당기면 고단 변속이 되고, -레버를 핸들쪽으로 당기면 저단 변속이 됩니다.
패들 시프트는 비교적 최근에 장착되기 시작했는데요, 그럼 이전에는 패들 시프트의 기능이 자동차에 없었을까요?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있습니다. 바로 기어봉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기어봉 한켠에 표시된 +- 표시가 패들 시프트랑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 바로 수동변속 기능이죠. 기어봉 쪽에 있던 수동변속 기능을 핸들쪽으로 옮겨온 게 패들 시프트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패들 시프트의 장점 2가지
1) 간편함
기존의 수동변속 레버를 사용하려면 한 손을 핸들(스티어링 휠)에서 떼어야만 했는데, 패들 시프트를 이용하면 핸들을 쥔 상태로도 간편하게 변속을 할 수 있다. 이 덕분에 안정감 있는 핸들링을 할 수 있다. 한 손 보다는 양손으로 조작하는 핸들링이 훨씬 안정적이다.
2) 힘의 적절한 이용
길이 험한 곳을 주행하거나 언덕길의 상황에서는 저단으로 낮추는 게 유리하다. 또한, 앞 차를 신속하게 추월 할 때도 시프트다운을 통해 순간적인 가속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절대 속도값이 높으려면 기어 단수가 높은 게 유리하지만, 폭발적인 가속도를 얻는 것은 저단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리막길에서도 저단 변속을 통해 베이퍼 록*(Vapor Lock)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압식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이상현상의 하나다. 이 현상이 일어나면 브레이크가 제 동작을 못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단, 패들 시프트를 너무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엔진의 미션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기어비가 너무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해야 합니다.
패들 시프트 장착모델(국내 브랜드)
브랜드 | 모델 |
현대자동차![]() |
벨로스터![]() |
투싼![]() |
|
싼타페![]() |
|
쏘나타 터보![]() |
|
i30![]() |
|
i40![]() |
|
코나![]() |
|
아반떼 스포츠![]() |
|
제네시스 쿠페![]() |
|
펠리세이드![]() |
|
스타리아![]() |
이미지 출처: 현대자동차
브랜드 | 모델 |
제네시스![]() |
G70![]() |
GV70![]() |
|
G80![]() |
|
GV80![]() |
|
G90![]() |
이미지 출처: 현대자동차
브랜드 | 모델 |
기아![]() |
K3 디젤![]() |
K5![]() |
|
K8![]() |
|
스포티지![]() |
|
쏘렌토![]() |
|
스팅어![]() |
|
쏘울![]() |
|
니로 하이브리드![]() |
|
카니발![]() |
이미지 출처: 기아자동차
'자동차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쏘 - 국내 유일 수소전기차 (0) | 2021.06.12 |
---|---|
국내 수동변속기 차량 현황 (2021년 기준 - 6종) (0) | 2021.06.12 |
자동차 '풀체인지'란? (0) | 2021.06.10 |
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란? (0) | 2021.06.09 |
국내 유일 LPG SUV, QM6 (0) | 2021.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