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기계)를 공부하다보면 펌프 상사법칙 문제가 꽤나 비중있게 출제되는 편이다. 근데 생각보다 공식이 잘 외워지지 않는다. 그래서 필자만의 암기법을 만들어 보았다.
유량 | 양정 | 동력 |
Q2=Q1(N2N1)(D2D1)3 | H2=H1(N2N1)2(D2D1)2 | L2=L1(N2N1)3(D2D1)5 |
Q: 유량(m3/s)
H: 양정(m)
L: 동력(kW)
N: 회전수
D: 임펠러 직경(원심펌프)
위 표는 펌프 상사법칙의 기본 공식이다. 저렇게만 보면 꽤나 복잡해 보인다. 저걸 그대로 외울 순 있지만 생각보다 많이 헷갈리고 잘 안외워진다. 이런 공식은 규칙성을 찾으면 생각보다 외우기 쉬워진다.
필자의 펌프 상사법칙 암기법을 소개한다.
1. 유량, 양정, 동력을 순서대로 적는다.
유량 | 양정 | 동력 |
2. 유량을 뜻하는 Q, 양정을 뜻하는 H, 동력을 뜻하는 L을 각각 써준다.
유량 | 양정 | 동력 |
Q2=Q1 | H2=H1 | L2=L1 |
3.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유량 - 양정 - 동력 순으로 회전수 비율(N2N1)의 지수부분이 1 - 2 - 3으로 증가한다. 이에 맞춰서 써준다.
유량 | 양정 | 동력 |
Q2=Q1(N2N1)1 | H2=H1(N2N1)2 | L2=L1(N2N1)3 |
4. 이제 절반정도 왔다. 남은 건 임펠러 직경 비율(D2D1)의 지수 부분이다.
유량의 경우 회전수 비율의 지수와 임펠러 직경 비율의 지수 합이 4이다. (1 + 3)
양정의 경우 회전수 비율의 지수와 임펠러 직경 비율의 지수 합이 4이다. (2 + 2)
동력의 경우 회전수 비율의 지수와 임펠러 직경 비율의 지수 합이 8이다. (3 + 5)
유량 | 양정 | 동력 |
Q2=Q1(N2N1)(D2D1)3 | H2=H1(N2N1)2(D2D1)2 | L2=L1(N2N1)3(D2D1)5 |
1 - 2 - 3과 4 - 4 - 8만 알고 있으면 펌프 상사법칙 공식은 쉽게 외울 수 있다.
생각보다 쉽지 않은가?
소방설비기사(기계)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이것 말고도 외울 게 많다. 이런 간단한 암기에서 힘들이지 말고 플랜지에 가해지는 힘, 오리피스 & 벤츄리 유량 공식, 하겐 윌리엄즈 공식 등을 제대로 외워서 꼭 자격증을 취득하자.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기체 조건 6가지 (0) | 2021.07.29 |
---|---|
음속 공식 (0) | 2021.07.23 |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0) | 2021.07.19 |
베르누이 방정식 - 유체의 에너지 보존법칙 (0) | 2021.07.18 |
소방설비(기계) - 플랜지 볼트에 작용하는 힘 공식 암기법 (0) | 2021.07.09 |
댓글